[경제읽기] '공매도 금지' 하루 만에 코스피 하락 반전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'경제읽기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,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금융당국의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로 어제 큰 폭으로 상승했던 코스피가 오늘은 하락 출발했습니다. 게다가 코스닥이 급락하면서 매도 사이드카까지 발동됐는데요. 하루 만에 분위기가 반전된 배경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큰 폭 올랐던 주가가 하루 만에 빠지면서 공매도 금지로 인한 증시 변동성 확대 등의 부작용이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는데 어떻습니까? 공매도가 금지됐던 과거 주가 반응은 어땠나요?<br /><br /> 그동안 정부가 추진했던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은 사실상 어려워진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공매도 금지가 꼭 결정적인 것은 아니라고 말했는데 어떻게 예상하시나요?<br /><br /> 정부는 공매도 전면 금지 결정을 내리면서 본격적인 제도 개선 작업에도 착수하고 있습니다. 현재 한정이 없는 외국인·기관의 공매도 상환기한도 도마 위에 오른 상태인데 '기울어진 운동장' 논란을 해소하려면 어떤 방안이 나와야 할까요?<br /><br /> 다른 주제로 넘어가 보겠습니다.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빠진 카카오 정상화를 위해 김범수 창업자가 전면에 다시 등장했습니다. 경영 쇄신기구를 신설하고 직접 지휘하기로 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할 예정인가요?<br /><br /> 강력한 외부 감시 기구인 '준법과 신뢰위원회'를 설치하고 김소영 전 대법관을 초대 위원장에 위촉했는데 카카오가 당면한 사법 리스크와 사회적 논란을 타개할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카카오는 오는 13일 택시업계와 간담회를 열고 서비스 개편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. 택시업계는 수수료 인하도 문제지만 수수료 체계나 매출 산정 방식, 배차 알고리즘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는 입장인데 합의점을 어떻게 찾아가야 할까요?<br /><br /> 한편, 카카오가 '경영진 교체' 카드를 꺼내 들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당장 내년 3~4월을 기점으로 계열사 대표의 절반 이상의 임기가 끝날 예정인 만큼 대거 물갈이도 가능하다는 건데 어떻게 보십니까? 경영진 물갈이가 이뤄진다면 국민 신뢰도 회복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